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눈이 침침해지는 노안과 백내장

나이가 들면 누구에게나 찾아오는 노안
중년건강의 적으로 노안과 백내장이 있다.
100세 시대라고 할때 40대에 노안이 온다고하면 60년을 노안으로 지내는 것이다.
노안의 원인과 증상, 치료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자.

 

노안의 증상과 원인

노안이란 눈 속의 렌즈역할을 하는 수정체가 노화되면서 기능이 떨어지게되고
조절력이 감소하여 초점을 정확히 맞추지 못하는 현상을 말한다.
수정체주위의 조절근은 멀리 볼 때는 얇아지고 가까이 볼 때는 
수축해서 두꺼워지며 근거리 초점을 맞춘다.
수정체의 탄성이 저하되면서 수정체 모양을 볼록렌즈로 변형시키는
섬모체소대의 수축력이 감소하는데
백내장까지 진행되면 탄성이 더욱 저하된다.
 
노안은 노화와 수정체자체의 탄력성저하가 원인이고 일반적으로 40대중반에 시작된다.
나이가 들어 감에 따라서 수정체를 조절하는 수정체 주변의 근육 또한 떨어지는 것이다.
백내장이 진행하면서 불용성 단백질로 인한 굴절력변화로도 나타난다.
 
노안의 증상은 보통 40대부터 시작하며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멀리는 잘 보이지만 가까이 있는 사물이 잘 안 보인다거나 눈이 침침해져 간다.
전반적으로 시력이 떨어지지는 않고
가까운 곳을 볼 때, 책, 핸드폰, 컴퓨터를 할 때
초점이 정확히 맞춰지지 않아서 흐릿하게 보이게된다.

노안이 빨리 오는 경우

젊을 때 시력이 좋았던 사람은  수정체의 조절력이 아주 좋기 때문에
시력을 유지할 수 있었지만
나이가 들어 감에 따라서 수정체의 조절력이 늦어지면서 상대적으로 불편감이 빨리 느껴진다.
반대로 근시가 있는 사람들은 노안이 상대적으로 늦게 느껴지기도 한다
백내장이 오게 되면 수정체가 딱딱해지고 수정체 조절력이 떨어지면서
노안이 빨리 올 수가 있고

그 외에도 스트레스, 피로도가 높으면 더 빨리 느끼게 된다.

노안을 늦추는 방법

노안은 노화가 진행되면서 오는 것이므로 근본적으로 노안을 늦추는 방법은 없다.
노화를 늦추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하는데
노화를 늦추는 방법으로는
노화를 촉진시키는 산화 스트레스를 낮추어주고

항산화 효과가 있는 음식을 섭취하는것이 좋다.
곡류, 콩류, 채소, 과일을 섭취하고,산화스트레스를 높여주는
지방이나 육류는 줄이면서 과식하지 말고 운동을 꾸준히 해서 적절한 열량을 유지해야한다.
 
근거리를 볼 때 조절 근육을 많이 사용하게 되어 불편감을 느끼고 시력이 저하되므로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를 많이 사용하는 경우에는  눈을 혹사시키지 말고 중간중간 눈을 쉴 수 있게해준다.
근거리 작업 후에는 20~30분마다 눈을 감고 있거나 멀리 보며 휴식을 취해야한다.

노안의 치료법

다초점 안경이나 돋보기, 노안 콘택트렌즈는 근거리 시력을 향상해
노안 개선에 가장 많이 쓰는 방법이다.
백내장이 같이 진행되면 노안과 같이 수술을 진행하는데
특수한 인공수정체인 노안용 인공수정체를 눈에 넣어 교정해준다.

노안과 백내장

노안과 백내장의 초기증상은 시력저하와 뿌옇게 보이는 증상으로 비슷하다.
차이점은 돋보기를 착용할 경우
노안은 시력저하가 해소되지만
백내장은 시력저하가 해소되지 않는다.
그리고 노안은 돋보기나 렌즈로 교정이 되지만 백내장은 수술방법이 유일하다는것이다.
백내장환자는 노안이 심해진다.
 
백내장은 전 세계적으로 3대 실명 질환으로 
투명한 수정체가 점차 혼탁해지거나 사물의 색이 바뀌어보이며 시력이 저하되는 질환이다.
수정체가 딱딱해지고 탄력성이 떨어져 조절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눈안쪽 수정체가 투명해야 하는데 수정체가 하얗게 혼탁해지는 현상으로
원인은 노화, 외상, 당뇨 등으로 다양하다.
가장 흔한 증상은 시력저하이며 갑자기 저하되지 않고 서서히 저하되는 것이 특징이다.
야간운전시 빛 번짐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조도가 낮은 환경에서 시력불편감이 높아진다.
투명한 수정체에 백내장이 생기면
노랗거나 희뿌연 색으로 빛이 통과하는 매질이 바뀌어 색깔의 변화가 있을 수 있지만
환자가 인지하는 경우가 드물다.
백내장을 일으키는 중요원인은 자외선이기 때문에
자외선 차단안경과 선글라스를 착용하는 것이 좋다.
백내장원인으로는 자외선 외에도 음주, 흡연, 당뇨, 안구외상, 스테로이드 약물사용등이있다.
병원 진단으로 발견할 수 있는데
세극등 현미경을 통해 생체현미경으로 수정체의 어느 위치에서 얼마나 혼탁이 되어있는지를 볼 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