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를 배경으로 오애순(아이유)과 양관식(박보검)의 삶과 사랑얘기를 그린 드라마로
1950년대부터 세월이 흐르면서 주인공들과 주변 인물들의 삶과 가족사를 다룬다.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의 기본정보와 줄거리, 평가에 대해 정리해보자.
기본 정보
| 장르-휴먼드라마,로맨스,시대극 |
| 방송-넷플릭스 오리지널 |
| 방영기간-2025년 3월7일~2025년 3월28일(총16부작) |
| 연출-김원석(나의 아저씨 연출) |
| 극본-임상춘 |
| 제작-팬엔터테인먼트,바람픽처스 |

주요 등장인물
오애순(젊은 시절-아이유, 중년-문소리)
제주도에서 태어나 가난하지만 자립적이고 야무진 인물로, 시인을 꿈꾼다.
힘든 환경에도 포기하지 않는 강인함이 있다.
어린 시절부터 세월이 흐른 후의 삶까지 가족과의 관계와 삶의 여정을 거친 모습으로 나온다.
양관식(젊은 시절-박보검, 중년-박해준)
일생동안 애순이만 바라보는 조용하고 성실한 성격으로
'팔불출 무쇠'라는 별명을 가진 인물이다. 삶의 고비에서 애순이를 지켜주는 든든한 존재이다.
애순이에 대한 사랑이 깊고 꾸준하며 나이가 든 후에 삶의 무게가 있지만 애순이에 대한 애정은 한결같다.
전과례(염혜란)
애순이의 어머니로 남편이 죽고, 생계를 책임지는 제주해녀로 악착같이 살아가지만, 잠수병을 얻어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난다.
딸 애순이에 깊은 애정을 가지고 잘 돌보려고 노력한다.
그녀의 삶은 세대 간 희생되는 상징적인 인물로 해석되기도 한다.
양금명(아이유)
관식과 애순의 첫째 딸로
아버지 관식의 무한사랑과, 부모의 희생을 잘 알고 있다.
학업 성취에 강한 집착이 있고 부모의 희생과 자신의 정체성 사이에서 갈등을 겪는다.
줄거리 및 회차별 요약
제주도를 배경으로 오애순의 삶과 사랑을 그려낸 이야기이다.
오애순의 어머니 때부터, 자녀들의 이야기까지, 그 안에서의
오애순과 양관식의 인생이 시간이 흐르면서 봄, 여름, 가을, 겨울 사계절처럼 변화하고 성장한다.
드라마 제목'폭싹 속았수다'는 '소고 많으셨다.''고생하셨다'의 뜻으로, 안생의 여정과 노력 그리고 서로의 감사함을 나타낸다.
에피소드별 주요 내용 정리
1막 (에피소드 1~4)
1. 호로록 봄 2. 요망진 첫사랑 3. 예스터데이"그들의 봄은..." 4.꽈랑꽈랑 여름
억척스러운 해녀 엄마 아래서 야무지고 똘똘하게 자라는 애순이는 그 작은 맘에 헤아릴 수 없도록 많은 꿈을 품고 살아간다.
하지만 가난과 가족 사회적 제약 때문에 서러운 일들이 닥치며 어린 애순을 힘들게 한다.
애순과 관식의 어린 인연이 드러나며
애순만을 바라보는 관식과의 사이에 유채꽃처럼 환한 사랑이 피어난다.
둘은 육지로 떠나, 사랑의 모험을 강행하는데 떠들썩한 소동 끝에 제주도로 돌아오고
마음대로 안 되는 상황에 애순은 말도 안되는 선택을 하고 관식이의 마음은 애가 탄다.
우여곡절 끝에 결혼한 애순이와 관식. 하지만 시집살이는 녹록하지 않고
아이에게만은 다른 인생을 살아가길 바라는 애순은 더욱 단단해진다.
관식이는 애순이와 딸에게 행복한 인생을 선물하고 싶어 한다.
2막 (에피소드 5~8)
5. 한여름 밤의 만선 6.살민 살아진다 7.자락자락 가을 8. 변하느니 달이요, 마음이야 늙겠는가
생활고에 시 달라는 관식과 애숙
관식이는 일자리를 구하려고 애쓰고 애순이는 그런 관식 걱정에 눈물이 난다.
돌아가신 엄마가 애순이를 위해서 한줄기 희망이 되어 새로운 인생의 기쁨을 맛본다.
하지만 하늘이 변덕을 부리던 그날 어린 부부에게 사나운 태풍이 몰아치고 일생의 큰 슬픔을 맞이한다.
애순이는 도동리 최초 여성 계장에 도전하고, 애순이 딸 금영이는 생각 못한 유혹에 갈등하게 된다.
하고 싶은 것도 많고 욕심도 있는 금병이는 일본에 유학할 기회를 얻고 애순과 관식도 없는 형편에 최선을 다하려고 한다.
3막 에피소드(9~12)
9. 바람은 왱왱왱 마음은 잉잉잉 10. 품 안의 바람 품 안의 사랑 11. 내 사랑 내 곁에 12.펠롱펠롱 겨울
비좁은 아파트에서 복작거리며 사는 애순과 관식. 관식을 닮은 10대 아들 은명이가 말썽을 피운다.
새로운 세대와의 갈등과 성장통이 시작된다.
금명은 새로운 생활을 시작하게 되고 애순은 불안한 마음에 휩싸인다.
자신을 아껴주는 연인과 결혼을 준비하지만
그 과정에서 상처를 받은 금명은 제주도로 내려오고 부모와 따뜻한 시간을 보내며 회복되어 간다.
금명이의 사랑과 성장이 나타난다.
그리고,. 남다른 인연으로 만난 동료와 가까워진다.
4막 (에피소드 13~16)
13.그추룩 짝사랑14.훨훨 날라,훨훨 날아보켜 15.만날,봄 16.폭싹 속았수다
불황이 계속되면서 금명의 일자리에도 문제가 생긴다. 은명도 감당 못할 불운에 휩싸이고
애순과 관식은 가족을 위해 무엇이든 감당할 준비를 하며 무엇이든 내던질 각오를 한다.
가족들은 각자의 자리에서 새로운 도전을 하는데,
관식은 가족을 위해 사업을 시작하고 그 길에서 장애물을 만난다. 아무리 힘들어도 가족이 있기에 앞으로 나아간다.
몸이 고되어도 웃음이 나는 날들에 느닷없는 시련이 가족을 덮친다.
웃음과 눈물, 사랑과 이별이 교차하고 고생했지만 잘 살아냈다는 깊은 위로를 건넨다.
마지막엔 애순이 관식에게 깊은 감사와 사랑을 전하고, 관식의 죽음이 암시되면서 여운 있는 결말을 맺는다.

평가 및 반응
제주도 특유의 퉁경과 문화, 사투리가 작품의 분위기를 풍부하게 만들고
드라마의 완성도가 매우 높다는 평가를 받았다. 감성드라마로 가족사이야기가 큰 울림을 준다는 시청자가 많았고
OST도 드라마의 분위기를 잘 살려주었다.
넷플릭스 글로벌 순위에서 상우권에 올랐을 만큼 해외에서도 반응이 좋았으며, 제4회 블루 드래건 시리즈 어워즈에서도 주요 부문 노미네이트되었다. 61회 백상예술대상에서 작품상, 극본상, 남녀조연상 등 4관왕 수상했다.